본문 바로가기

수업(국비지원)/Python86

[Python] 클래스 ############### # 클래스 : 사용자 정의 자료형 # 구조체 + 함수 => 변수 + 함수의 모임. 불완전 객체 지향 # 상속 : 다중 상속이 가능. 하나의 클래스에 여러개의 부모클래스가 존재 # (자바는 단일 상속.) # self : 자기참조변수. 인스턴스 함수의 매개변수로 설정해야 한다.(무조건) # 생성자 :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 def__init__(self) : ############### 📌 class Car() : # 기본 생성자 제공 클래스 : 생성자를 구현하지 않음. color = "" # 멤버 변수 speed = 0 # 멤버 변수 def upSpeed(self,value) : # 멤버 함수(메서드) self.speed += value def downSpe.. 2023. 4. 24.
[Python] 예외 처리 # 오류 종류에 상관 없이 오류가 발생하면 except블록 수행 try : ..... except : .... # 발생된 오류가 except 문에 미리 정해 놓은 오류이름과 일치할때만 excpet 블록 수행 try : .... except 발생오류 : .... # 오류 메세지 이름까지 알고 싶을 때 사용 try : .... except 발생오류 as 오류메세지 변수 # try ...finally 구문 : try문 수행 도중 예외 발생 여부에 상관 없이 항상 수행된다. try : .... finally : .... 📌 ################# 예외처리 : 예측가능한 오류 발생 시 정상 처리 # try : except 문장 idx = "파이썬".index("일") # 오류 발생 idx = "파이썬"... 2023. 4. 24.
[Python] 전역변수, 지역변수 #전역변수 : 모든 함수에서 접근이 가능한 변수 #지역변수 :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변수 📌 func3과 func4는 지역변수 전역변수로 변하지 않는다. func5의 경우 global def func3() : c=300 #지역변수 print("func3() 함수 호출", a,b,c) def func4() : a=110 #지역변수 b=220 #지역변수 print("func4() 함수 호출", a,b) #함수내부에서 전역변수값 수정하기 def func5() : global a #a,b 변수는 전역 변수를 사용함 a=110 b=220 print("func5() 함수 호출", a,b) # 전역 변수. 모든 함수들이 사용하는 변수 a=100 b=200 func3() #print("main:",a,b,c).. 2023. 4. 24.
[Python] 함수 ''' 2022-11-25 복습 Collection :데이터의 모임. 리스트(list) : 배열. 순서유지. 첨자(인덱스)사용 가능. [] 튜플(tuple) : 상수화된 리스트. 변경 불가 리스트. {} 딕셔너리(dictionary) : (key,value)쌍인 객체들. {} items() : (key,value)쌍인 객체를 리스트 형태로 리턴 keys() : key들만 리스트 형태로 리턴 values() : value들만 리스트 형태로 리턴 셋(set) : 중복 불가. 순서 모름. 첨자(인덱스)사용 불가. 집합표현 객체. {} & intersection() : 교집합 , union() : 합집합 컴프리헨션(comprehension) : 패턴(규칙)이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''' 📌 #######.. 2023. 4. 24.
[Python] 컬렉션 - set 📌 ##### set : 중복 불가. 집합을 표현하는 객체. {}로 표현함. set1 = {30,10,20,10} # 10 요소는 한개만 출력됨. 순서지정 안됨. print(set1) # 결과 -> {10, 20, 30} print(set1[0]) # 순서지정이 안되므로 인덱스(첨자)사용 불가. # 집합 구현하기 set1 = {1,2,3,4,5,6} set2 = {1,2,3,4,5,1,2,3,4,5} print(set1) print(set2) set3 = {5,6,7,8} # 교집합 : 두개의 집합에 공통 요소들 print("set1과 set2의 교집합 요소:",set1 & set2) print("set1과 set3의 교집합 요소:",set1 & set3) print("set1과 set3의 교집합 요소:.. 2023. 4. 24.
[Python] 컬렉션 - tuple 📌 ##### 튜플 : 상수화 된 리스트(상당히 안정적이다.). ()로 표시함. # 변경 할 수 없다. tp1 = (10,20,30) print(tp1) # 리스트기 때문에 반복문에서도 사용 가능. for t in tp1 : print(t) # 인덱스 사용가능 print(tp1[0],tp1[1],tp1[2]) tp1.append(40) # 오류. AttributeError: 'tuple' object has no attribute 'append' tp1[0] = 100 #오류. 튜플은 변경 안됨. ## 튜플객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리스트로 변경을 해야한다. list1 = list(tp1) list1.append(40) list1[0] = 100 list1 # 결과 -> [100, 20, 30, 40] #.. 2023. 4. 24.
[Python] 컬렉션 - dictionary 📌 #### dictionary : {(key1:value1),(key2,value2),...} score_dic = {'lee':100,'hong':70,'kim':90} print(score_dic) print(type(score_dic)) # hong의 점수 출력하기 # value 2023. 4. 24.
[Python] 컬렉션 - list(리스트) ''' 2022-11-24 복습 print(값) : 화면에 출력하기 print(값1, 값2) : 값을 여러개 출력 print("{0:d}{1:2d}...".format(값1, 값2,...)) 형식문자 이용하여 출력 print("%2d,%3d" % (값1, 값2)) : 형식문자 이용하여 값을 여러개 출력 print(f"{변수1}{변수2}") : 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 print(""" 문자열 """) : 여러줄 문자열 문자열 : 문자들의 모임. 인덱스(첨자)를 사용가능 "문자열"[시작인덱스:종료인덱스+1:증감값] 시작인덱스 생략시 : 0번부터 시작 종료인덱스 생략시 : 마지막 문자까지 증감값 생략시 : 1씩 증가 조건문 : if else, if elif else, True if 조건식 else Fals.. 2023. 4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