❓
#1.
# x=c(2, -1, 3, 7, 0.5, 8)가 실행되었다 하자. 다음 물음을 R 언어로 답하시오.
#
#①6, 2, 4번째 원소를 동시에 찾아라.
#②x의 원소 중 0보다 큰 값을 찾아라.
#③짝수 원소들을 찾아라.
#④x에서 홀수원소를 찾아 제거하라.
x=c(2,-1,3,7,0.5,8) #벡터 데이터
x
#①
x[c(6,2,4)] #[인덱스]. R에서는 인덱스가 1부터 시작된다.
#②
x[x>0] #요소의 조건을 인덱스로 사용
#③
x[x%%2==0]
#④
x[x%%2==1]=NA
x
#1.
❓
#2.
# 다음과 같은 번호(ID), 성명(name), 성적(score)를 성분으로 하는 리스트가 있다.
# 물음에 답하라.
# L=list(ID=c(1,2,3),
# name=c('Kim', 'Lee', 'Park'),
# score=c(80, 95, 75))
# ① length(L)은 얼마이며,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?
# ② 이름 성적 75을 80으로 수정하라.
# ③ L$name=='Park'의 결과를 쓰고,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라.
# ④ L$score[L$name=='Park']의 결과를 쓰고, 문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라.
# ⑤ 1번 학생의 이름과 성적을 알아내는 문장을 만들어 보아라.
L=list(ID=c(1,2,3),
name=c('Kim', 'Lee', 'Park'),
score=c(80, 95, 75))
L
# ①
length(L) #열의 개수. 데이터 종류의 개수.
# ②
L$name[L$score==75]
L[L$score==80] #조건을 이용하여 인덱스 선택
L$score[L$score==75]=80
L$score
# ③
L$name=='Park' #조건의 결과는 boolean이다.(true 아니면 false)
#name이 Park여부 boolean으로 출력
# ④
L$score[L$name=='Park'] #Park의 성적만 조회
# ⑤
cat(L$name[L$ID==1], L$score[L$ID==1]) #cat : 화면에 두개이상의 변수를 출력
union(L$name[L$ID==1], L$score[L$ID==1]) #union : 화면 출력이 아니고 두개의 데이터를 합한 객체
c(L$name[L$ID==1], L$score[L$ID==1])
#2.